-
[ 목차 ]
이 글 하나로 개념 정리 끝!
요즘 뉴스나 정책 기사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
전기요금 절감, 에너지 절약, 탄소중립 등과 관련해 빠짐없이 등장하는 핵심 기술이지만,
정작 그 관련 용어들은 생소하고 어렵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스마트그리드를 이해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핵심 용어 15가지를 쉽고 간결하게 정리해드립니다.
처음 접하는 분도 이 글 하나로 개념 정리 OK!
1.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기존 전력망에 IT 통신 기술을 접목해 전기를 똑똑하게 관리하는 지능형 전력망입니다.
전기 흐름을 실시간으로 조절하고, 사용량을 예측하며,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시스템.
✅ 핵심: 양방향 전력 흐름, 실시간 정보 처리, 에너지 절감
2. 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지능형 계량 인프라
전기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그 데이터를 전력회사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공유할 수 있는 인프라입니다.
예: 스마트미터기 + 통신 모뎀 + 관리 시스템의 통합 구조
3. EMS (Energy Management System)
에너지 관리 시스템
가정, 건물, 공장 등에서 에너지 사용을 모니터링하고 자동 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
데이터 기반으로 전력 사용을 최적화해줍니다.
분류:
- HEMS (Home EMS)
- BEMS (Building EMS)
- FEMS (Factory EMS)
4. ESS (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 저장장치
전기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와 연계해 전력 안정화에 기여합니다.
예: 낮에 생산된 태양광 전기를 저장 밤에 사용
5. DR (Demand Response)
수요반응 제도
전력 소비자가 전기를 적게 사용하면 보상을 받는 제도입니다.
전력 사용이 많은 시간대에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는 정책입니다.
예: 피크타임에 냉방기 사용 줄이면 전기요금 할인
6. V2G (Vehicle to Grid)
전기차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를
필요 시 전력망으로 다시 보내는 기술입니다.
✅ 전기차 = 이동형 배터리
가정용 전원 or 전력망 공급자 역할까지 가능
7. DER (Distributed Energy Resource)
분산형 에너지원
소규모 발전설비(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를
전력망과 분산 연결하여 운영하는 시스템입니다.
중앙 집중형 발전소 대신 지역별 자급형 전력 체계
8. 스마트미터기
AMI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전기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송신하는 디지털 계량기입니다.
- 원격 검침 가능
- 사용자도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사용량 확인
9. 마이크로그리드 (Microgrid)
소규모 지역에서 전기를 자급자족할 수 있는 독립형 전력 시스템입니다.
스마트그리드의 핵심 구조 중 하나.
예: 섬, 군부대, 대규모 산업단지 등에서 자급 가능한 전력망
10. T&D (Transmission & Distribution)
**송전(Transmission)**과 **배전(Distribution)**을 합친 개념입니다.
전력을 생산한 후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전체 경로.
스마트그리드에서는 이 경로도 실시간 제어 및 모니터링 대상이 됨
11. 피크 타임(Peak Time)
하루 중 전기 사용량이 가장 많은 시간대입니다.
전기요금이 비싸고, 과부하 위험도 높습니다.
예: 여름 오후 2~5시
스마트그리드가 자동으로 이 시간대를 피하도록 조정
12. 전력거래소 (KPX)
대한민국의 전력 수급을 관리하고,
실제 전력거래가 이루어지는 중앙 시스템.
스마트그리드 시대에는 소비자도 참여하는 분산형 거래가 가능
13. 연계율 (Renewable Energy Grid Integration Rate)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가
얼마나 스마트그리드에 연계되어 운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
2025년 한국 기준: 약 27% (계속 상승 중)
14. 프로슈머(Prosumer)
**생산자(Producer) + 소비자(Consumer)**의 합성어로,
자신이 전기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사용자를 뜻합니다.
스마트그리드 시대에는
가정용 태양광 + ESS 사용자 = 대표적인 프로슈머
15. 에너지자립률 (Energy Independence Rate)
한 지역(또는 가정)이 외부 전력에 의존하지 않고
얼마나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생산 소비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스마트그리드를 통해 에너지자립률을 높이는 것이 목표
📊 요약표: 스마트그리드 핵심 용어 정리
용어 | 설명 |
---|---|
스마트그리드 | IT 기반 지능형 전력망 |
AMI | 실시간 계량 인프라 |
EMS | 에너지 사용 제어 시스템 |
ESS | 에너지 저장 장치 |
DR | 수요반응 제도 |
V2G | 전기차 전력망 공급 기술 |
DER | 분산형 발전 자원 |
스마트미터기 | 실시간 계량기 |
마이크로그리드 | 독립형 전력망 |
피크타임 | 전력 사용 최대 시간대 |
연계율 | 재생에너지 연계 비율 |
프로슈머 | 생산+소비 동시 사용자 |
에너지자립률 | 자체 에너지 생산 능력 |
✍️ 마무리하며
처음 들으면 어렵게 느껴지지만,
하나하나 개념을 정리하면 **스마트그리드는 결국 일상과 연결된 시스템 **이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오늘 정리한 용어를 통해
뉴스, 정책, 기사, 그리고 전기요금 고지서까지
좀 더 쉽게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는 힘을 갖게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