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우리 집엔 어떤 방식이 더 잘 맞을까?
아이의 장난감을 정리하려고 할 때 가장 먼저 부딪히는 고민은 바로 **어떤 기준으로 분류할 것인가?**입니다.
정리 방법을 검색해 보면 보통 종류별 분류를 많이 추천하지만,
막상 실생활에서는 사용 빈도 기준이 훨씬 실용적인 경우도 많습니다.
결국 정답은 없을거 같애요.
우리 가족의 생활 방식과 아이의 놀이 습관에 따라 가장 잘 맞는 기준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종류별 분류의 장점과 한계
✔ 장점
- 한눈에 보기 좋다
자동차, 인형, 블록, 보드게임 등 비슷한 것끼리 모아두면 시각적으로도 정리된 느낌을 줌. - 정리 교육에 좋다
아이에게 자동차는 여기, 블록은 저기처럼 정리 위치를 명확하게 가르치기 쉬움. - 중복 확인에 용이
같은 종류의 장난감이 얼마나 많은지 파악하기 쉬워, 물건 줄이기에도 유리함.
❗한계
- 사용 빈도와 무관한 배치가 될 수 있음
자주 갖고 노는 장난감이 높은 선반에 올라가 있고, 안 쓰는 장난감이 바닥에 있을 수도 있어요. - 놀이 흐름이 끊길 수 있음
자동차 놀이에 쓰는 도로매트는 바닥에 있는데, 차는 박스 안 아이가 꺼내기 귀찮아함 그냥 다른 걸 꺼냄 정리 실패할수 있음
2. 사용 빈도별 분류의 장점과 한계
✔ 장점
- 아이의 실제 행동 패턴에 맞춘 정리
매일 갖고 노는 장난감은 바닥 가까이에,
가끔 쓰는 장난감은 선반 위나 서랍에.
아이 스스로 꺼내고 정리하기 쉬움 - 공간 활용도가 높아짐
중요한 장난감이 빠르게 닿는 위치에 있어 놀이 효율성이 높아짐.
정리도 잘되고, 놀이도 더 활발해짐 - 정기적인 정리 루틴을 만들 수 있음
계절이나 연령 변화에 따라 사용 빈도를 기준으로 장난감을 순환시킬 수 있어요.
집은 깔끔, 아이는 새 장난감 같은 느낌
❗한계
- 비슷한 장난감이 여기저기 흩어질 수 있음
예: 자동차 한두 대는 자주 쓰니까 거실에, 나머지는 박스 안에
종류별 통일감이 깨져서 찾기 어려워질 수 있음 - 어른이 보기엔 혼란스러울 수 있음
눈에 띄는 기준이 없기 때문에, 방문객이나 가족이 도와주기 어려울 수 있음
3. 우리 집 기준, 이렇게 정했어요
저희 집은 혼합형을 선택.
- 거실 기준 사용 빈도 기준
- 자주 사용하는 블록, 피규어, 자동차 아이 키 높이에 있는 수납 바구니
- 자주 놀지 않는 장난감 상단 선반 or 보관함
- 아이방 기준 종류별 기준
- 그림책은 책장, 인형은 전용 진열장, 보드게임은 서랍
- 종류별로 정리해 아이가 구분을 배울 수 있도록 유도
- 정기 점검
- 한 달에 한 번, 아이와 함께 사용 빈도 재점검
- 요즘 안 갖고 노는 건 어디에 둘까?를 묻는 루틴 정착
이렇게 생활 공간마다 기준을 다르게 적용하니 훨씬 효율적으로 정리가 되더라구요.
4. 어떤 기준이든 지속 가능성이 핵심
정리의 궁극적인 목표는 단순히 깔끔해 보이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유지 가능한 시스템을 만드는 것.
아이의 성향, 생활 리듬, 가족 동선을 반영해
우리 집에 잘 맞는 정리 기준을 찾는다면
정리는 더 이상 스트레스가 아니라,
생활을 더 편하게 만들어주는 도구가 될거라 생각합니다.